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45)
SQL 챌린지를 하면서 얻는 성취감 우선 나 자신에게 박수 👏👏👏👏👏👏👏👏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또 다시 작아질 것만 같다 😭 SQL 챌린지,,, 여전히 한 문제, 한 문제가 어렵다. 그래도! 하지만! 예전보다 하나씩 쌓아가는 재미를 느끼며 '아 이렇게 앞으로 나아가는 거구나.' 라는 정도는 느끼고 있다. 살아가면서 마음가짐이 정말 중요하다는 걸 절실히 깨닫고 있는 요즘 무작정 '할 수 있다!' 라고 되뇌기 보다 직접 실천하면서 '할 수 있어어어어!' 라고 외치는 건 정말 다르다. 그 동안 나는 그냥 속으로만 아이캔두잇 유캔두잇 위캔두잇을 외치고 있었다. 그리고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을 느낀다. (나는 평생 부족함을 느끼고 살 듯) 이렇게 포스팅 하나 하는 것만으로도 예전의 나와 다름은 분명한데 여전히 셀프 칭찬은 어렵다. 날 갉아 갉아 ..
[통계] 기초부터 차근차근 - 영가설, 대립가설, 유의확률, p-value ✍ 데이터 분석에서 활용하기 위한 통계를 공부합니다. 🙌 혹시나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:) ✅ 영가설(귀무가설) 🔸 특별한 증거가 없으면 참으로 추정되는 가설 🔸 검정을 통해 영가설을 기각하고 싶어 함 🔸 H0 으로 표기 ✅ 대립가설 🔸 특별한 증거가 없으면 거짓으로 추정되는 가설 🔸 우리가 궁금한 가설 🔸 H1 또는 Ha로 표기 ✅ 유의확률, p-value 유의확률은 영가설(귀무가설)이 맞다고 가정할 때 얻은 결과보다 극단적인 결과가 실제로 관측될 확률 ... 너무 어렵죠? 즉, 유의확률 p-value가 작을수록 대립가설을 채택하게 됩니다. 보통 p-value가 0.05, 0.01보다 작으면 대립가설을 채택합니다. ✅ 예시 1 🔸 영가설: 대한민국 성인 남성의 키는 1..
[통계] 기초부터 차근차근 - 백분위수, 사분위수 ✍ 데이터 분석에서 활용하기 위한 통계를 공부합니다. 🙌 혹시나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:) ✅ 백분위수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했을 때 백분율로 나타낸 특정 위치의 값 가장 작은 것을 0, 가장 큰 것을 100으로 한다. 100개의 값을 가진 어떤 자료의 20 백분위수는 그 자료의 값들 중 20번째로 작은 값을 뜻한다. 50 백분위수는 중앙값과 같다. ✅ 사분위수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했을 때 4등분한 위치의 값 그렇다면, 데이터 분석에서 이를 어떻게 활용할까요? ✍ 주어진 데이터의 분포를 파악하는데 이용합니다. ✍ 보통 사분위수를 이용해 박스플롯을 그리고 이상치를 제거합니다.